해국은 바닷가 바위틈에 자생하는 아름다운 가을꽃이다.
모진 비바람을 맞고 추운겨울을 잘 견뎌내고 더운 여름에도
꿋꿋하게 버티다 가을바람이 간드러지게 불어오는 이맘때쯤에는
여지없이 그 고운 꽃을 피워올려
많은 사진가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야생화이다.
시간이 없어 비록 바다로 가지는 못하였지만
수목원에도 이렇게 아름답게 잘 피어 있었다.
해국의 꽃색깔은 말갛고 단아하여 단번에 시선을 사로잡아 버린다.
꼭 슬픈 전설이 깃들여 있는 꽃처럼 애처로이 아름답다.
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3~4cm 정도의 머리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개화.
총포는 반두형이고 포조각은 3줄로 배열된다.
특징
줄기는 아래쪽이 목질화하여 반과목 상태로 높이 30~60cm 정도로 비스듬히 자라며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아래쪽의 잎은 방석 모양으로 퍼져 자라며
위쪽의 잎은 어긋나게 달린다. 잎몸은 난형 또는 주걱형으로
질이 두껍고 양면에 털이 많아 부들부들하게 느껴진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몇 개의 큰 톱니가 있으며 반상록성으로
겨울에도 잎이 남아 있다. 7~11월 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3~4cm 정도의
머리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총포는 반두형이고 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제주도 및 전국의 바닷가 절벽이나 바위틈에서 자생하는 반목본성 초본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일본에도 분포한다.





해국은 국화과의 쌍떡잎식물이다.시간이 된다면 바다로 달려가
바다와 갯바위와 잘 어우러진 해국을 촬영하고 싶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창출(蒼朮)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이뇨·진통·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소화불량·위장염·
감기 등에 사용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해국의 꽃말은 기다림이다.누구를 무엇을 기다리고 있을까?
특징
줄기는 아래쪽이 목질화하여 반과목 상태로 높이 30~60cm 정도로 비스듬히 자라며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아래쪽의 잎은 방석 모양으로 퍼져 자라며
위쪽의 잎은 어긋나게 달린다. 잎몸은 난형 또는 주걱형으로
질이 두껍고 양면에 털이 많아 부들부들하게 느껴진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몇 개의 큰 톱니가 있으며 반상록성으로
겨울에도 잎이 남아 있다. 7~11월 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3~4cm 정도의
머리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총포는 반두형이고 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제주도 및 전국의 바닷가 절벽이나 바위틈에서 자생하는 반목본성 초본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일본에도 분포한다.
해국은 국화과의 쌍떡잎식물이다.시간이 된다면 바다로 달려가
바다와 갯바위와 잘 어우러진 해국을 촬영하고 싶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창출(蒼朮)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이뇨·진통·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소화불량·위장염·
감기 등에 사용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해국의 꽃말은 기다림이다.누구를 무엇을 기다리고 있을까?
'식물, 야생화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끼들의 봄의 왈츠 (82) | 2011.03.25 |
---|---|
노란칫솔 모양의 버들강아지꽃 (갯버들) (40) | 2011.03.12 |
대구수목원에 활찍 핀 3월 봄꽃들 (114) | 2011.03.09 |
제주도의 봄 기운 머금은 이끼에 맺힌 이슬 (109) | 2011.02.25 |
제주도 중산간 마을에 활짝 핀 매화 (109) | 2011.02.23 |
바다를 닮은 가을 야생화 해국 !!! (32) | 2010.10.20 |
애끓는 정열의 화신 붉은 꽃무릇 장관 ( 대구수목원 ) (44) | 2010.09.27 |
보기 힘든 야생화 분홍꽃술 흰꽃여뀌를 만나다 (24) | 2010.09.13 |
민망스러운 이름의 식물 소경불알 (32) | 2010.09.12 |
밀양연지의 홍련 아름다워`~~` (57) | 2010.09.06 |
가는 여름이 아쉬운 수목원의 꽃들 (33) | 2010.09.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자주 봤던 꽃인데 이름이 해국 이군요.
정말 알면 알수록 배울게 더더욱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
바다국화`~`
아름답지요?
다소 쓸쓸해보이기는 하지만요.
소국~대국~국화~이것이 국화꽃의 이름 끝ㅋㅋㅋ
해국~이제 하나 더 늘었네요~^^;
ㅎㅎㅎㅎㅎ
해국..예쁘지요?
수목원에 핀 해국도 이리 고운데,
바다와 어우러진 해국은 정말 아름답겠네요.
바닷바람이 싣고 오는 님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걸까요?
좋은 오후시간 되세요~^^
바다해국 보러 가야겠어요~~
정말 예쁠듯 합니다.
정말 바다를 닮았다는 표현이 딱 좋으네요^^ 파랑색 국화 저도 좋아해요^^
유진님..잘 지내시지요?
해국은 벌개미취를 그대로 닮았어요~
아마도 비바리님을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
역시 펜펜님은 포스팅 속에 담긴 내용을 잘 이해하시는 듯... ㅎㅎㅎ
펜펜님..산들강님..ㅎㅎㅎ
아고, 곱기도 해라~~
사진이 멋져 더 눈부십니다.~~
고맙습니다..ㅎㅎㅎ
예전에 간절곶에 갔더니 많이 피었더군요^^
맞아요..거기에 많은 군락지가 있었던것
저도 보았습니다
월욜..가볼까 부닷..
허걱..근디 넘 머네요..
해국이 누굴 기다릴까요?
살랑 살랑 지나가는 바람을 기다릴까요? 아니면 확~하고 지나가는 태풍을 기다릴까요?
저는 새를 기다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ㅎㅎㅎ
월욜.함께가면 좋은데 말이죠.
해국 담고 건너와서 물수리 마저 담고..
지금쯤 울릉도 가면 왕해국으로
난리가났을것 같은데요~^^
해국이 이제는 바닷가에서
정말 누구를 기디리고 있겠죠~^^
아마도 저가 아닌가 싶어요~ㅎㅎㅎ
울릉도에는 왕해국이 참 많다네요
가보고 싶은데 여즉 못가봤습니다.
해국도 넘 아름답게 피어 있어
노랑나비가 한몫을 합니다..^^
이제 국화가 활짝 피었을지..^^
올해는 나비를 많이 담았지요?
바다해국이 보고 싶군요
꽃이름 이제 알았습니다^^
기다림이라 바다에 보낸 서방님을 기다리는 꽃인가 봅니다!
음~~~그런것일까요?
드디어 해국의 시간이 돌아왔군요
바쁘다는 핑계로 댓글을 다 달아드리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다음에 물매화가 보고 싶으면 풍성한 곳을 발견해
두었으니 말씀하세요
해국위의 노랑나비가 환상적이군요
즐거우시고 승리하시길
사랑합니다 행복하세요
원님.별 말씀 다 하세요
바쁘신것 다 알고 있거늘
저도 자주 들려보지도 못하공..
그러고 있어요..
늘 감사합니다.^^*
모진 비바람과 추운 겨울을 견디고 핀 해국.....
고통끝에 피어낸 꽃이라 더 아름다워 보이는것 같습니다...^^
오늘은 제대로 구경하고 갑니다~~~~
아~~다행입니다.
사진이 안보이신다 하셔서 안타까웠는데..
강인함이 보이는 것 같아요.
모진 칼바람 참아냈으니...ㅎㅎ
바닷가의 야생화들은
강인해서 더 아름다운것 같습니다.
순간적으로 해국을 수국으로 착각하고... 어라... 해국이 저게 아닌데 ㅡㅡ;;
ㅎㅎㅎㅎㅎ
그럴수도 있어욤~~
가을 냄새가 진하게 나는 꽃인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아마도 해국은 벌과 나비를,
그리고 또... 비바리님이 카메라를 들고 찾아 주시길
기다리고 있지 않았나 합니다.ㅎㅎ